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야기

학교 풍속도(홍세화) 학교 풍속도 우리 초중고교의 구조가 병영을 그대로 본뜬 것임을 알아차리는 데는 특별한 연구나 성찰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교문 옆에 붙어 있는 수위실은 위병소이며, 운동장은 연병장이고 운동장 중앙 전면에 자리잡은 구령대는 사열대다. 우리네 학교는 민주적 시민을 길러내기 위.. 더보기
교사 10계명 교사 10계명 1. 하루에 몇번이든 학생들과 인사하라. 한마디의 인사가 스승과 제자 사이를 탁 트이게 만든다. 2. 학생들에게 미소를 지으라. 밝고 다정한 선생으로 호감을 줄 것이다. 3. 학생들의 이름을 부르라. 이름을 부르는 소리는 누구에게나 가 장 감미로운 음악이다. 4. 친절하고 돕는.. 더보기
영어 못하는 것이 죄인 나라(한겨레 신문에서 퍼온 글) 영어 못하는 것이 죄인 나라 김지예 (서울 신관중 교사/ 전 전교조 부위원장) 개학을 맞아 학교에 다녀온 6학년 딸애가 현관에 들어서면서부터 비명이다. 담임 선생님께서 앞으론 영어로 수업을 해야 한다며 신문기사를 보여주셨단다. 딸애는 “지금 영어시간도 못 알아들어 죽겠는데, 이.. 더보기
한겨레신문 1면에 실린 내얼굴 전교조에서 주관하여 열린 전국교사대회(2008. 1. 25. 서울 세종로 공원에서)의 모습이 오랜만에 한겨레신문 제1면(1. 26일자)에 실렸는데 함께 갔던 전북지부 선생님들과 함께 내얼굴도 한쪽에 나오는 영광(?)을 얻었다. 부당인사조치와 잘못된 이명박정부의 교육정책을 비판하는 이번 교사대회에 의미를.. 더보기
교육의 참모습 관심과 애정으로 다시 돌아가자(박부권 교수) 더불어 생각하며 교육의 참모습 관심과 애정으로 다시 돌아가자 동국대 교수/ 박부권 신자유주의의 주창자들은 경제적 시장원리를 교육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 적용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들의 신념이 전적으로 그릇된 것은 아니다. 교재. 교구를 구입하고, 건물을 개. 보수하며, 강당을.. 더보기
회색인들의 사회(홍세화) 일제 강점기 이래 우리 사회의 교육과정에서 배제된 것 중 하나가 자율성의 가치입니다. 군국주의 일본이 식민지 노예들에게 자율성을 가르치지 않았던 것은 차라리 당연한 일이었습니다. 당시 학교는 일왕에게 무조건 충성하라는 타율적 질서의식을 형성하는 곳이었습니다. 문제는 “.. 더보기
'거짓말쟁이' 된 교사, 억장이 무너집니다 (오마이뉴스 전대원) '거짓말쟁이' 된 교사, 억장이 무너집니다 [주장] 교육에 들이대는 이명박식 불도저가 겁나는 이유 - 전대원 (amharez) 불도저의 삽날 끝이 교육계를 향해 달려오고 있다. 이명박 후보가 당선되기 이전부터 가장 많이 변할 부분이 교육 쪽이라는 것은 익히 짐작이 되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정책이 획기적.. 더보기
교육 제자리 찾기는 집에서 시작됩니다 [2007. 12월 한겨레신문에서 퍼온 글] "교육 제자리 찾기는 집에서 시작됩니다 ." [아이랑 부모랑] 희망을 만드는 새해 제언 다시금 새해, 첫날 떠오르는 이른 아침 해를 맞으러 수려한 삼각산에 오를 것입니다. 맑고 밝고 고요한 빛, 커다란 광명 앞에서 나의 근본, 삶의 처음에 대해 생각해 보려 하기 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