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트레투어길인 문화생태 탐방로 ▶
1. 트레투어(tretour)가 등산 문화의 새로운 패턴으로 확산되고 있다.
트레투어는 트레킹(trekking)과 투어(tour)의 합성어이다. 트레킹은 남아프리카 원주민들이 달구지를 타고 정처없이 집단 이주한 데서 유래하였다.
전문 산악인들이 개발한 네팔의 히말라야 등 험한 산악길이 일반에게 공개되면서 트레킹이라는 용어로 정착했다. 하루 도보 거리는 15∼20㎞이며, 산의 높이를 기준으로 5,000m이상은 등반, 그 이하는 트레킹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투어는 관광 여행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트레투어는 말 그대로 기존의 트레킹에 여행 개념을 강조한 신개념 산행 형태라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펼쳐지는 산행은 일반적으로 산 정상까지 오르는 클라이밍(등산)과 산 정상에 오르지 않고 산중턱, 그리고 계곡길, 들녘 등을 혼합해 걷는 트레킹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들어 클라이밍은 등산 마니어 층으로 비교적 그 참가 대상이 좁혀지는 추세인데 비해 트레킹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트레킹이 때로 지루할 수도 있다는 한계점 때문에 여기에 볼거리를 많이 추가한 형태라고 할 수 있는 트레투어가 새로운 산행 패턴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다. 특히 젊은층에게 이런 산행이 크게 어필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트레투어에 적합한 장소로 개발된 곳이 제주도 올레길이나 지리산 둘레길이라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환경부나 산림청에게 선점(先占) 당했다고도 볼 수 있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우선 전국에 2009년 5월 29일, 문화생태 탐방로 7개소를 선정하여 1차로 아래와 같이 발표하였다.
① 소백산자락길(37.10km)
② 강화 나들(둘레)길(52km)
③ 삼남대로를 따라가는 정약용의 남도 유배길(61.50km)
④ 동해 트레일 해안길 (74km/영덕블루로드 50km + 삼척수로부인길 24km)
⑤ 섬진강을 따라가는 박경리의 ‘토지’ 길(31km)
⑥ 고인돌과 질마재따라 100리길(43.60km)
⑦ 여강(남한강)을 따라가는 역사문화 체험길(55km)
이곳에서는 강화나들길을 제외한 6곳의 문화생태 탐방로에 관하여 소개를 하기로 하며, 현재 이곳에 소개되는 각 탐방로별 코스는 2010년 4월 15일 기준으로 개설된 곳이다.
현재도 각 지자체별로 탐방코스를 추가로 개발하고 있으며, 그 내용이 확정되는대로 추가를 하여 소개를 하도록 할 예정이다.
2, 각 탐방로별 코스
소백산자락길
코 스 |
구 간 |
구간 거리 |
소요시간 |
제1코스 Ⅰ향교길(사색의길) Ⅱ죽계구곡길(예술의길) Ⅲ달밭골길(숨겨둔길) |
소수서원~삼가주차장 소수서원~삼괴정 삼괴정(배점분교)~초암사 초암사~삼가주차장 |
총 12.60km 약 3.80km 약 3.30km 약 5.50km |
총 3시간10분 약 1시간 약 50분 약 1시간20분 |
제2코스 Ⅳ시거리길(휴식의길) Ⅴ십승지길(지혜의길) Ⅵ온천길(과수원길) |
삼가주차장~소백산(희방사)역 삼가주차장~삼가호 삼가호~히여골 히여골~희방사역 |
총 13.10km 약 3.70km 약 4.00km 약 5.40km |
총 3시간20분 약 1시간 약 1시간 약 1시간20분 |
제3코스 Ⅶ죽령옛길(체험의길) Ⅷ용부원길(긍지의길) Ⅸ장림말길(다짐의길) |
소백산(희방사)역~장림리 희방사역~죽령주막 죽령주막~죽령터널입구 죽령터널입구~장림리(대강초교) |
총 11.40km 약 2.80km 약 3.90km 약 4.70km |
총 2시간50분 약 40분 약 50분 약 1시간20분 |
구간거리 합계 |
|
약 37.10km |
|
삼남대로를 따라가는 정약용의 남도 유배길
코 스 구 간 구간 거리 소요시간 제1코스 (사색과 명상의 다산 오솔길) 다산수련원~영랑생가 약 15.00km 약 5시간 제2코스 (시인의 마을길) 영랑생가~성전 달마지마을 약 13.40km 약 4시간 제3코스 (그리움 짙은 녹색 향기길) 성전 달마지마을~천황사 약 16.60km 약 4시간30분 제4코스 (월출산 자락, 기 충전길) 천황사~구림마을(도기박물관) 약 16.50km 약 6시간 구간거리 합계 약 61.50km
동해 트레일 해안길(영덕블루로드&삼척수로부인길)
▷ 영덕블루로드
코 스 |
구 간 |
구간 거리 |
소요시간 |
제1코스 (바다를 꿈꾸는 산길) |
강구항~해맞이공원 |
약 17.50km |
약 6시간 |
제2코스 (환상의 바닷길) |
해맞이공원~죽도산(축산항) |
약 15.00km |
약 4시간30분 |
제3코스 (선인들의 발자취를 더듬는 답사길) |
죽도산(축산항)~고래불해수욕장 |
약 17.50km |
약 5시간30분 |
구간거리 합계 |
|
약 50.00km |
|
▷ 관동대로 삼척수로부인길
코 스 |
구 간 |
구간 거리 |
소요시간 |
제1코스 (바다를 안고 걷다) |
고포해변(고포마을)~옥원리 |
약 7.50km |
약 3시간 |
제2코스 (황희 정승을 만나러 가는 길) |
옥원리~임원3리성황목 |
약 8.50km |
약 3시간30분 |
제3코스 (옛이야기 속으로) |
성황목~장호초교 |
약 8.00km |
약 3시간 |
구간거리 합계 |
|
약 24.00km |
|
섬진강을 따라가는 박경리의 토지길
코 스 |
구 간 |
구간 거리 |
소요시간 |
제1코스 (소설 토지의 무대따라 걷기) |
섬진강평사리공원~화개장터 |
약 18.00km |
약 5시간 |
제2코스 (산과 강, 인간이 만든 '눈 속에 꽃이 핀 고장' 화개길 걷기) |
화개장터~국사암 |
약 13.00km |
약 3시간 |
구간거리 합계 |
|
약 31.00km |
|
고인돌과 질마재따라 100리길
코 스 |
구 간 |
구간 거리 |
소요시간 |
제1코스 (고인돌길) |
고인돌박물관~원평마을 |
약 8.80km |
약 3시간 |
제2코스 (복분자&풍천장어길) |
원평마을~연기마을 |
약 7.70km |
약 2시간30분 |
제3코스 (질마재길 or 국화길) |
연기마을~검단소금전시관 |
약 14.40km |
약 6시간30분 |
제4코스 (보은길 or 소금길) |
검단소금전시관~선운산관광안내소 |
약 12.70km |
약 6시간 |
구간거리 합계 |
|
약 43.60km |
|
여강을 따라가는 역사문화 체험길(여강길)
코 스 |
구 간 |
구간 거리 |
소요시간 |
제1코스 (옛나루터길) |
은모래금모래~도리마을회관 |
약 15.40km |
약 5~6시간 |
제2코스 (세물머리길) |
도리마을회관~홍원창 |
약 17.40km |
약 6~7시간 |
제3코스 (바위늪구비길) |
홍원창~신륵사 |
약 22.20km |
약 7~8시간 |
구간거리 합계 |
|
약 55.00km |
|
'지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상산의 의미 (0) | 2012.08.20 |
---|---|
대동여지도에는 왜 독도가 없을까? (0) | 2011.08.24 |
재미있는 지도 (0) | 2010.04.11 |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나라 (0) | 2009.06.10 |
[스크랩] 세계 나라별 인구및 국토 면적 현황 (0) | 2009.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