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고장, 정읍이야기

김동수 고가의 풍경

중요민속자료 제26호로 지정된 전통가옥(한옥)이 우리 고장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에 고스란이 남아있어 건축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찾아오고 있다.  이 가옥은 김동수의 6대조인 김명관이 조선 정조8년(1784년)에 건립한 주택으로 일명 아흔아홉칸집으로 알려져 있다. 청하산을 배경으로 앞에는 동진강 상류의 맑은 하천이 흐르고 있어 전형적인 배산임수의 터전에 세운 주택건물이다. 바깥행랑체의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아담하게 조화를 이룬 사랑채가 보인다. 다시 안행랑채의 대문을 들어서면 집의 구조가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며, 좌우전면의 돌출된 부분에 부엌을 배치한 특이한 평면의 안채가 있다. 안채의 서남쪽으로는 안사랑채가 있는데 입향조인 김명관이 본채를 지을 때 그 자신과 목수들이 임시로 거처하기 위하여 지은 건물이라 한다. 또 안채의 동북쪽에는 작은 사당이 있으며, 집 주위에 8채의 호지집(노비집)이 있었으나 지금은 2채만 남아있다.

 

 

 

 

 

 

 

 

 

 

 

 

 

 

 

 

 

 

김동수 고가 앞쪽의 복원된 호지집(노비집)

 

 

 

 

 

 

 

 

 

 

 

 

 

 

 

 

 

 

 

 

 

 

 

 

솟을 대문앞.

 

 

 

 

 

 

 

 

 

 

 

 

 

 

 

 

 

 

 

 

 

 

 

 

 

 

 

 

 

 

 

 

 

 

 

 

 

 

 

 

 

 

 

 

 

 

 

 

 

 

 

 

 

 

 

 

 

 

 

 

 

 

 

 

 

 

 

 

 

 

 

 

 

 

 

 

 

 

 

 

 

 

 

 

 

 

 

 

 

 

 

 

 

 

 

 

 

 

 

 

 

 

 

 

 

 

 

 

 

 

 

 

 

 

 

 

 

 

 

 

 

 

 

 

 

 

 

 

 

 

 

 

 

 

 

 

 

 

 

 

 

 

 

 

 

 

 

 

 

 

 

 

 

 

 

솟을대문의 장식부분. 자라모양.

 

 

 

 

 

 

 

 

 

 

 

 

 

 

 

 

 

 

 

 

 

 

 

 

 

 

 

 

 

 

 

 

 

 

 

 

 

 

 

 

 

 

 

 

 

 

 

 

 

 

 

 

 

 

 

 

 

 

 

 

 

 

 

 

 

 

 

 

 

 

 

 

 

 

 

 

 

 

 

 

 

 

 

 

 

 

 

 

 

 

 

 

 

 

 

 

 

 

 

 

 

 

 

 

 

솟을 대문

 

 

 

 

 

 

 

 

 

 

 

 

 

 

 

 

 

 

 

 

 

 

 

 

 

솟을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오른쪽으로 바깥사랑채가 있는데 그곳으로 가는 출입문이다.

 

 

 

 

 

 

 

 

 

 

 

 

 

 

 

 

 

 

 

 

 

 

 

 

 

 

 

 

 

 

 

 

 

 

 

 

 

 

 

 

 

 

 

 

 

 

 

 

 

 

 

 

 

 

 

 

 

 

 

 

 

 

 

 

 

 

 

 

 

 

 

 

 

 

 

 

바깥사랑채 건물.

 

 

 

 

 

 

 

 

 

 

 

 

 

 

 

 

 

 

 

 

 

 

 

 

 

 

 

 

 

 

 

 

 

 

 

 

 

 

 

 

 

 

 

 

 

 

 

 

 

 

 

 

 

 

 

 

 

 

 

 

 

 

 

 

 

 

 

 

 

 

 

 

 

 

 

 

 

 

 

 

 

 

 

 

측간(뒷간)의 모습

 

 

 

 

 

 바깥사랑채에서 안채로 연결되는 통로. 양반들의 체면문화로 인해 이런 약간은 은밀한 공간이 생긴 것 같다.

 

안채의 부엌. ㄷ자모양의 안채에는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방을 따로 하여 살았는데 부엌도 따로 마련되어 있다.

 

 

 

 

 

 

 

 

 

 

농업용 도구. 수확된 벼를 이 기계를 이용하여 알곡과 쭉정이로 분리한다.

 

 

 

 

 

 안사랑채 건물

 

멍석이라 불리는 볏집을 이용한 수공업품

 

가옥뒷편에 위치하는 우물정자 모양의 집안우물.

 

 

주변 돌담 

사당으로 들어가는 출입문.

 

 

여름이 오면 더위를 극복하기 위해 이렇게 문짝을 들어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