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것이 먼저 생겼다 | ||||||||||||||||||||||||||||||||||||||||||||||||||||||||||||||||||||||||
'작은 몰고개'와 '작은 과수원'을 찾아서 | ||||||||||||||||||||||||||||||||||||||||||||||||||||||||||||||||||||||||
정읍에는 ‘작다’는 의미가 들어간 지명이 몇 있다. 작은 몰고개, 작은 과수원, 잔다리목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처음에는 작지 않았지만 이후에 상대적으로 큰 것들이 나타남으로써 ‘작은’ 이라는 이름이 덧붙여졌을 것이다. 시기적으로 따지면 먼저 만들어진 것들이고 요즘말로 하면 ‘원조’(元祖)에 해당한다. 몰고개, 단고개와 더불어 정읍의 대표 교개였다
이 중에서 상동(上洞) 지역에 위치한 ‘작은 몰고개’와 ‘작은 과수원’을 찾아가 본다. 상동은 원래 정읍이 시(市)로 승격하기 전까지는 원상동(元上洞), 상신경동(上新景洞), 하신경동(下新景洞), 상사동(上舍洞), 중사동(中舍洞) 등 5개 마을을 포함하여 상리(上里)라고 불리었다. 위에서 말한 ‘작은 몰고개’와 ‘작은 과수원’은 과거 원상동과 하신경동 지역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먼저 몰고개 옆 ‘작은 몰고개’를 찾아가 본다. 동초등학교에서 내장로를 따라 상동으로 조금 더 가다보면 길이 크게 꺽어지는데 그 부분에서 찾아가면 된다. ‘작은 몰고개’는 칠보산에서 이어지는 산줄기가 만들어 놓은 고개 중의 하나이다. 칠보산의 산줄기는 정읍시내의 북쪽을 병풍처럼 감싸면서 성황산을 지나 두락봉에서 끝난다. 대체로 서북쪽으로 달리면서 고도가 낮아지고 중간 중간에 말안장처럼 낮은 능선을 형성하였는데 사람들은 여기에 고개 길을 만든 것이다. 도보시대에 지역간 교류를 가로막는 지리적 장애 요소인 산줄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의 낮은 고개 길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한편 산과 물의 지리적 장애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고갯길과 다리는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증거로 지도에서 같은 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읍시내와 북면사이를 가르는 칠보산 산줄기에는 귀양실 고개, 상리 고개, 작은 몰고개, (큰)몰고개 등이 있어서 양쪽의 사람과 물자가 넘나들었다. 이 중에서 현재 국도 1호선에 해당하는 몰고개는 단고개(호남중고 옆)와 더불어 정읍지역을 대표하는 고개 길로 인식되고 있다.
‘몰고개’라고 하는 지명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주장이 있다. 일부에서 ‘말고개’라고도 부르는 것에 근거하여 ‘크다’는 의미 또는 직접 말(馬)과 관련된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여러 가지 문헌과 지리적 상황을 살펴볼 때 ‘몰고개’는 모래고개(모래재, 沙峴) 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어원상 ‘모래는 ‘몰애’가 그 원형이라는 점, 문헌에 몰고개 아랫마을(지금의 원상동 지역)을 사저촌(沙底村)이라 했던 점, 그리고 과거에는 정읍천이 자유곡류하면서 이곳 몰고개 아래쪽으로 흘렀고 곳곳에 백사장을 형성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종합해볼 때 ‘몰고개’라는 표현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참고로 정읍천은 과거에 자유곡류하면서 송산동에서 상동으로 굽어지고 장명동과 수성동을 통과하여 연지동쪽으로 흘렀다고 한다. 지금의 정읍천은 시내의 남쪽에 치우쳐있고 직선으로 흐르는 단조로운 하천의 모습인데, 이는 일제강점기 전국적인 직강(直江)공사의 일환으로 추진된 사업임을 기억해야할 것이다. 갈재(노령)-> 정읍사로(아요현)-> 작은 몰고개-> 태인,전주
고개의 경우 대개 갈지자(지그재그형)로 기복을 극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곳 ‘작은 몰고개’는 기복이 낮아서 그런지 직선형의 오솔길이 만들어져있다. 도보시대에 별로 힘들이지 않고 넘을 수 있었던 교통의 요충지였던 것이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들어 자동차의 이동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지는 이른바 ‘신작로’가 만들어지면서 이곳 정읍에도 교통로의 변화가 있었다. 야요현이나 싸리재 대신 단고개가 넓혀지고, ‘작은 몰고개’ 대신 새로운 몰고개길을 만들었던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도로확장공사의 경우 보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작업의 편리성을 생각해서 기존 도로대신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처럼. 몰고개가 있는 산줄기, 최근에는 샘골터널-용호터널 추가 최근에 이 산줄기에 또 다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정읍시내와 수성동 신시가지 사이의 소통을 위해 샘골터널(땅굴)이 이미 뚫렸고, 뒤를 이어 신설된 4차선 1번국도가 만든 용호터널의 교통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아마도 새로운 터널을 이용하는 자동차가 많아짐으로써 기존의 고갯길은 더욱 한가로운 길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제 더 이상 힘겹게 걸어서 오를 일도 없고, 자동차라 하더라도 속도를 줄일 필요가 없다. 터널을 이용하여 산줄기를 통과하는 방식은 종전에 산줄기가 주는 지리적 장애와 정서적 단절감을 완전하게 극복해준 것이다. 시쳇말로 참 좋은 세상이다. 몰고개길, 정상엔 당산 느티나무 있어 여행의 안녕 빌기도 했으니...
이제 ‘작은 몰고개’를 올라가본다. 정상에는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는데 옆에 사는 할머니의 증언으로는 당산나무라고 한다. 고갯길을 넘어 먼 길을 떠나는 사람들이 여행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로 이곳에서 소원을 빌고 자갈돌이라도 하나씩 올리고 갔을 것 같다. 지금은 거의 오가는 사람이 없지만 이곳 작은 몰고개는 (큰)몰고개가 신작로로 만들어지기 전까지 상당히 북적거렸을 것이다. 요즘에는 고개 너머에 농토를 가진 사람들만 간간이 이곳을 이용한다고 한다.
아마도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근대적 과수농업을 정읍에 처음 적용하였던 곳일 것 같다. 그렇다면 왜 작은 과수원이라 했는가? 길 건너편 정읍교육청 인근에 지금도 일본식 가옥이 한 채 있는데 당시 그곳에는 여기보다 더 큰 과수원이 있어서 규모를 가지고 ‘큰 과수원’, ‘작은 과수원’이라고 나누어 불렀다고 한다.
또한 가까운 농업기술센터 부지에는 과거 뽕나무밭이었다고 하니 가히 이곳 상동은 과일나무와 뽕나무 등이 울창한 수목농업의 중심지였을 것이다. 꿈같은 얘기지만 그런 수목을 그대로 살리고 도시를 확장했다면 그야말로 정읍은 전원도시가 되었을 텐데 하는 아쉬움도 가져본다.수목이 사라지고 콘크리트 건물이 그 자리를 차지한 지금의 현실이 우울하긴 하지만, 언젠가 는 이곳에 또다시 사과나무와 배나무 그리고 뽕나무가 심어질 날이 올 것임을 기대해본다. 그랬을 때 그것이 진정한 의미의 상전벽해(桑田碧海)일 텐데........ |
||||||||||||||||||||||||||||||||||||||||||||||||||||||||||||||||||||||||
입력 : 2006년 10월 05일 16:05:17 / 수정 : 2007년 02월 18일 08:13:0 |
'우리고장, 정읍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있는 농민군? (0) | 2007.12.10 |
---|---|
“그전엔 요쪽으로 기차가 지나갔는디” (0) | 2007.12.10 |
안개도시, 정읍 (0) | 2007.12.10 |
천년의 영화(榮華)를 꿈꾸었던 돌기와집 (0) | 2007.12.10 |
화호, 정읍의 타임머신 (0) | 2007.12.10 |